(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명령안전진단 수검 준비서류 체크리스트
1. 도급인 (OOO건축) 준비 서류
도급인은 현장 전체를 총괄 관리하는 주체로서, 수급인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포괄적인 법적 책임을 집니다.
구분 | 서류명 | 주요 내용 및 확인사항 |
기본 서류 | 안전진단 명령서 1 |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명령서 원본 |
사업자등록증, 법인등기부등본 | 회사 기본 정보 확인 | |
계약 및 업체 관리 | 도급 계약서 (발주처 ↔ OOO건축) | 공사 범위, 공사금액, 안전보건관리비 책정 여부 확인 |
하도급 계약서 (OOO건축 ↔ OOOO) | 하도급 공사 범위, 금액, 안전관리 책임 분담 내용 | |
수급업체(OOOO) 자격 서류 | (필수) OOOO의 '도장·습식·방수·석공사업' 면허 사본 (공사금액 1,500만원 이상 필수) | |
도급인의 법적 의무 이행 (산안법 제64조) | 안전보건협의체 회의록 2 | (핵심) 수급인과 매월 1회 이상 안전에 관해 협의했음을 증명하는 회의록 (서명 포함) |
작업장 순회점검 일지 6 | (핵심) 건설업 기준 2일에 1회 이상 현장을 점검하고 위험요인 및 조치사항을 기록한 일지 | |
합동 안전보건점검 일지 7 | 도급인과 수급인이 함께 정기/수시로 현장을 점검한 기록 | |
유해·위험정보 제공 서류 7 | 작업 전, 현장의 위험요인(추락 위험 장소 등)을 수급인에게 문서로 제공한 기록 | |
현장 안전관리 | 위험성평가 검토/승인 자료 | 수급인이 실시한 위험성평가(특히 달비계 작업)를 검토하고 승인한 기록 |
작업허가서(PTW) 8 | (핵심) 달비계 등 고위험 작업 전, 안전조치 완료를 확인하고 도급인이 작업을 서면으로 허가한 문서 | |
안전보건교육 지원/확인 자료 | 수급인 근로자 대상 안전교육을 위한 장소/자료 제공 또는 교육 실시 여부를 확인한 기록 | |
사고 관련 | 산업재해조사표, 중대재해 발생보고서 1 | 사고 발생 후 고용노동부에 제출한 서류 사본 |
2. 수급인 (OOOO) 준비 서류
수급인은 소속 근로자의 직접적인 사용자로서, 작업 실행에 대한 1차적이고 구체적인 안전조치 의무를 집니다.
구분 | 서류명 | 주요 내용 및 확인사항 |
기본 서류 | 사업자등록증 | 회사 기본 정보 확인 |
'도장·습식·방수·석공사업' 면허 사본 | (필수) 공사 수행에 필요한 법적 자격 증명 | |
근로자 관리 및 교육 | 근로자 명부 및 근로계약서 | 재해자를 포함한 소속 근로자 현황 |
안전보건교육 일지 | (핵심) 신규채용, 정기, 특히 '달비계 작업 특별안전보건교육' 이수 증빙 (서명 포함) | |
관리감독자 지정서 14 | 현장 작업을 지휘·감독할 책임자를 지정한 서류 | |
작업 안전관리 | 위험성평가 실시 기록 | (핵심) 달비계 작업에 대한 유해·위험요인 파악 및 감소대책 수립 기록 |
작업계획서 | 달비계 작업의 방법, 순서, 안전조치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계획서 | |
TBM(Tool Box Meeting) 회의록 | 매일 작업 시작 전, 작업자들이 위험요인과 안전조치를 논의한 기록 | |
장비 및 보호구 | 장비(로프, 안전대 등) 점검 기록 14 | (사고 직접원인) 로프, 안전대 등 장비의 구매일, 점검일, 폐기일 등을 기록한 대장 |
보호구 지급 대장 | 재해자에게 안전대, 안전모 등 보호구를 지급했음을 증명하는 기록 (본인 서명 포함) | |
사고 관련 | 사고 관련 내부 기록 일체 | 사고 경위서, 목격자 진술 등 내부적으로 작성된 모든 자료 |
진단 수검 시 최종 조언
- 솔직한 인정과 개선 의지: 없는 서류를 거짓으로 만들려 하기보다는, 법적 의무를 인지하지 못했거나 이행하지 못한 부분을 솔직하게 인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후, 사고를 계기로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처벌 수위를 결정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대표이사 직접 대응: 도급인, 수급인 모두 대표이사가 직접 진단에 참여하여 책임 있는 자세와 재발 방지 의지를 강력하게 표명해야 합니다. 진단관들은 경영자의 의지를 매우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반응형
'산업안전보건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기업 사업장 산업안전보건법 의무사항 (0) | 2025.10.01 |
---|---|
중대재해에 따른 노동부 명령안전진단 및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 보고서 (0) | 2025.09.30 |
노동부 명령안전진단 컨설팅 (0) | 2025.09.29 |
작업중지권, 모르면 내 손해! 산업안전보건법 A to Z (근로자 권리부터 해제 절차까지) (2) | 2025.08.17 |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의 종류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