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공단은 중소 사업장의 근원적 안전성 확보를 통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위험기계 교체와 위험공정 개선을 지원하는 '23년도 '안전투자 혁신사업'의 지원신청을 1.18(수)부터 접수한다고 한다. 안전투자 혁신산업은 중소사업장을 대상으로 미인증 이동식 크레인 등 위험기계 교체지원과 뿌리산업등 제조업의 노후 위험공정 개선지원을 통해 중소사업장의 근원적 안전을 확보하고 기업경쟁력을 강화하고자 '21년부터 3년간 시행하는 재정지원사업이다 '23년에는 약 3,200억원의 예산을 들여 위험기계 2,000여대 교체와 위험공정 2,200여개소 개선등을 지원할 예정이하고 한다 2. 보도내용 "23년 안전투자 혁신사업 주요 개편사항" '23년 안전투자 혁신 사업은 재정지원을 통해 산업재해 ..

창원 현동 아파트 신축공사장서 근로자 3명 추락 사고 일시 : 23.02.03 오전 11시 50분경 사고 개요 : 주차장 지붕 콘크리트 타설작업중 스라브(지붕) 붕괴로 인하여 콘크리트타설공 3명 추락 사고 강도 :부상자들은 어개 다리등을 다쳤고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것으로 소방서에서 확인됨 노동부 조치 : 외부 안전진단 명령(법 47조 안전보건진단) 안전진단 명령시 후속 플로우 ■ 산업안전보건법 47조 (안전보건진단) 고용노동부장관은 추락ㆍ붕괴, 화재ㆍ폭발, 유해하거나 위험한 물질의 누출 등 산업재해 발생의 위험이 현저히 높은 사업장의 사업주에게 제48조에 따라 지정받은 기관(이하 “안전보건진단기관”이라 한다)이 실시하는 안전보건진단을 받을 것을 명할 수 있다. ■ 산업안전보건법 49조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정부에서 산업안전 선진국으로 도약하기위한 중대재해를 획기적으로 감축하고자 하는 의지 표명으로 중대재해 감축로드맵을 발표하였다. '26년까지 사망사고만인율을 OECD 평균수준 0.29%%으로 감축을 목표로 한다. 안전사고의 사전예방에 초점을 맞추어 기업 스스로 위험요인을 발굴 개선하는 위험성평가를 중심으로 [자기규율 예방체계] 구축을 지원하되, 중대재해 발생시에는 엄중한 결과와 책임을 부과한다는 전략과 중대재해가 다발하는 중소기업,건설,제조업,추락,끼임,부딪힘, 하청사고에 대해 집중적으로 지원,특별관리한다는 것이 로드맵의 핵심전략이다 1. 로드맵 수립 배경 우리나라의 근로자 사고 사망만인율은 지난 20년간 1/3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OECD 국가의 평균수준에 미달한다. 21년 사고사망만인율을 0.43%%..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지붕 공사 추락사고 공장지붕에서 태양광 구조물을 설치하던 일용직 근로자가 채광창이 부서지면서 지붕에서 바닥으로 추락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사고일 시 : 23.01.26 사고내용 : 추락사망 사고원인 : 태양광 지붕공사중 지붕채광창 안전덮개 미설치로 인한 추락 사고대책 : 지붕채광창 안전덮개 설치 유사사례 사고일 시 : 22.08.27 사고장소 : 부산 사하구 조립공장 지붕보수공사 사고개요 : 지붕보수공사 현장에서 피재자가 지붕위에서 이동중 채광창 부위를 밟아 해당부위 파손되면서 공장내부 바닥으로 추락사망한 재해임(약 33.8M) 채광창 : 공장,창고등의 지붕에 채광을 목적으로 설치된 창으로 섬유강화프라스틱(FRP),폴리카보네이트등의 재료가 사용됨 정상작업상황(정상작업) 채..

1. 4M 위험성평가 방법 ■ 4M 위험성평가 개요 정의 : 공정(작업)내 잠재하고 있는 유해요인을 Man(인적),Machine(기계적),Media(물질환경적),Management(관리적)등 4가지 분야로 리스크를 파악하여 위험제거대책을 제시하는 방법 ■ 4M 어골도(예시) 2. 체크리스트 방법 ■ 체크리스트 방법 개요 공정 및 설비의 오류,결함상태,위험상황등을 목록화한 형태로 작성하여 경험적으로 비교하으로써 위험성을 파악하는 방법 ■ 체크리스트 방법 용도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해성과 위험성을 식별하는데 사용 제품,프로세스 또는 시스템의 라이프사이클의 어느 단계에서도 사용가능 다른 평가 방법의 일부로 사용될수 있음 상상력이 풍부한 기법이 적용된후 모든 사항이 포함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적용될때 가장 ..

1. 중대재해 처벌법 제 4조 ( 사업주와 경영책임자등의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등은 사업주나 법인 또는 기관이 실질적으로 지배운영관리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종사사의 안전 보건상 유해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사업 또는 사업장의 특성 및 규모등을 고려하여 다음 각호에 따른 조치를 하여야 한다. 재해예방에 필요한 인력 및 예산등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그 이행에 관한 조치 재해 발생시 재발방지 대책의 수립 및 그 이행에 관한 조치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가 관계법령에 따라 개선 시정등을 명한 사항의 이행에 관한 조치 안전보건 관계법령에 따른 의무이행에 필요한 관리상의 조치 2.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5조 (안전보건 관계법령에 따른 의무이행에 필요한 관리상의 조치) "안전보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