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안전보건관리체제 구축 안전보건계획 수립 및 이사회 보고 승인(법 14조)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선임(법 15조~19조)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실시(법 24조) 2. 사업장 안전보건 조치 사업장 위험성평가 실시(법 36조) 안전보건표지 설치 부착(법 37조) 안전.보건조치(법 38조,39조) 유해위험기계기구 방호조치(법 80조) 3. 노동자 보호조치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실시(법 29조,77조) 고객폭언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조치(ㅒ법 41조)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법129조,130조) 사업장 작업환경측정(( 법 125조) 4. 산재발생시 조치사항 중대재해 발생시 작업중지 및 대치, 지체없이 보고(법 54조) 산업재해조사표 작성 및 제출(법 57조)

1. 산업안전보건법 법령요지 1장 총칙 (1조~13조) 2장 안전보건관리체제등(14조~28조) 3장 안전보건교육(29조~33조) 4장 유해위험방지조치(34조~57조) 5장 도급시 산업재해예방(58조~79조) 6장 유해위험기계기구 조치(80조~103조) 7장 위험물질에 대한조치(104조~124조) 8장 근로자 보건관리(125조~141조) 9장 산업안전보건지도사(142조~154조) 10장 근로감독관(155조~157조) 11장 보칙(158조~166조) 12장 벌칙(167조~175조) 총 175개조문으로 구성되어있다. 2. 건설현장 사망사고 위험요인 핵심안전수칙

1. 목적 이 법은 건설기계의 등록ㆍ검사ㆍ형식승인 및 건설기계사업과 건설기계조종사면허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건설기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건설기계의 안전도를 확보하여 건설공사의 기계화를 촉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2. 건설기계관련법령이해 1) 건설기계 관리법 및 산업안전보건법의 주요내용 이해 제2조 정의 : “건설기계사업”이란 건설기계대여업, 건설기계정비업, 건설기계매매업 및 건설기계해체재활용업을 말한다. 제3조 등록 등 : 건설기계의 소유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건설기계를 등록하여야 한다 제4조 미등록 건설기계의 사용금지 : 건설기계는 제3조제1항에 따른 등록을 한 후가 아니면 이를 사용하거나 운행하지 못한다. 제5조 등록사항의 변경신고 : 건설기계의 등록사항 중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

해마다 많은 전기재해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전기재해의 주요 종류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전기재해의 종류 감전 재해 전기 누전 전기 화재 정전기 재해로 크게 4가지로 구분할수 있다 2. 감전재해 종류별 특징 1. 감전재해란 감전재해란 전기 에너지가 인체의 일부 또는 대부분에 가해져 충격을 받은 현상을 말한다 이는 아크의 복사열에 의한 화상과 함께 전류에 인체가 감전 사망에 이른다. 2. 감전사고 원인 및 발생 형태 피복이 벗겨진 전선이나 기기외함에 접촉 기기의 결함으로 누전된 기기의 외함,철구조물에 접촉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인체근접 공기의 절연파괴로 감전,화상 낙뢰로 인하여 전기 에너지가 인체를 통해 방전되는 경우 3. 감전에 영향을 주는 요소 통전전류의 크기 통전 시간 통전 경로 전원의 종류 4. 감전..

1. 전기란 무엇인가 전기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가 무엇이죠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전기가 없다고 한번 가정해보겠습니다. 전기가 없다면 우리의 일상생활은 어떻게 될까요 ㅎ 저녁에 전기가 없으면 온 세상이 암흑이 될거라고 봅니다. 집에서 전기로 하는 밥솥은 가동을 할수가 없을것이고, 냉장고,TV,핸드폰도 충전이 안되니 사용할수가 없을것이고, 사무실에 가서도 컴퓨터,복사기,승강기등 아예 출근도 할수가 없을것라 봅니다. 이렇듯 전기는 우리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재라 볼수 있지요 다시 말해서 전기란 우리 실생활의 모든 전기 부하를 동작시킬수 있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그만큼 전기는 우리 생활에서 중요합니다. 2. 전기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전기는 크게 발전기를 돌려서 전기를 생산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