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지도사는 관련 법규에 따라 안전관리자 선임 의무가 없는 공사금액 1억 원 이상 120억 원(토목공사는 150억 원) 미만의 중소규모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재해예방 기술지도를 수행합니다. 이는 전문적인 안전관리 역량이 부족할 수 있는 현장의 자율 안전관리 시스템을 정착시키고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기술지도는 단순히 현장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을 넘어, 실질적인 개선을 유도하고 안전 문화를 정착시키는 종합적인 컨설팅 활동입니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이 계약 체결, 현장 방문 지도, 결과 보고 및 사후관리의 체계적인 절차로 이루어집니다.1. 기술지도 계약 및 준비 단계 📋 기술지도의 첫걸음은 계약 체결에서 시작됩니다. 2022년 8월 18일부터는 건설공사 발주자가 착공 전날까지 '건설재..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1. 정의: '사람'을 통한 '가치 창출' 활동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 HRM)**는 조직의 목표 달성과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 필요한 **인적 자원(Human Resources)**을 전략적으로 확보, 개발, 활용, 보상, 유지하는 일련의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활동을 의미합니다.핵심 키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전략적: 단순한 행정 업무가 아니라, 기업의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에 맞춰 인적자원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합니다.인적 자원: 사람을 단순한 노동력이나 비용이 아닌, 기업의 가장 중요한 **자산(Asset)**이자 경쟁력의 원천으로 인식합니다.가치 창출: 인적자원관리는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
로크의 목표 설정 이론 & 목표 관리(MBO): '우리 회사가 이렇게 성장하고, 안전하게 일하자!' 신입사원으로서 회사에 입사하면, 회사에는 분명 '경영 목표'나 '안전 목표' 같은 것들이 있다는 걸 알게 될 거예요. 예를 들어 "올해 매출 10% 성장!"이나 "무재해 100만 시간 달성!" 같은 것들이죠. 이런 목표들이 그냥 만들어지는 게 아니랍니다. 바로 로크의 목표 설정 이론과 **목표 관리(MBO)**라는 원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요.1. 정의: '명확한 방향 설정으로 더 잘하자!' 로크의 목표 설정 이론은 간단히 말해, **"구체적이고 도전적인 목표가 있을 때 직원들이 더 열심히 일하고, 성과도 더 좋아진다!"**는 심리학 이론이에요. 막연하게 "회사 잘 되게 노력하자!"라고 하는 것보다, "이..
호손 실험 연구 호손 실험 연구는 20세기 초, 미국 웨스턴 일렉트릭(Western Electric) 사의 호손(Hawthorne) 공장에서 수행된 일련의 연구로,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Theory)**의 탄생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이는 경영학의 초점이 생산 효율성에서 '사람'의 심리적, 사회적 요인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1. 정의 **호손 실험 연구(Hawthorne Studies)**는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엘튼 메이요(Elton Mayo)를 중심으로 하버드 대학 연구진이 미국 웨스턴 일렉트릭 호손 공장에서 수행한 일련의 실험들을 총칭합니다. 이 연구는 **작업 환경의 물리적 조건(예: 조명, 휴식 시간)**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은 20세기 초, 산업화 시대에 공장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등장한 경영 기법입니다. 이는 단순히 '열심히 일하는 것'을 넘어, '가장 효율적으로 일하는 방법'을 과학적으로 찾아내고 적용하려는 시도였습니다.1. 정의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Scientific Management)**은 미국의 기계공학자 프레더릭 윈슬로 테일러(Frederick Winslow Taylor)가 제창한 생산성 향상 기법입니다. 이는 작업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표준화된 절차와 도구를 통해 최소의 시간과 노력으로 최대의 생산량을 달성하려는 관리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사람을 포함한 모든 생산 요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가장 효율적인 '하나의 최적의 방법(One Best Way..
네, 이번에는 갓 회사에 들어간 신입 직장인 분들이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크만과 올드햄의 직무특성이론을 설명해 드릴게요. 회사 생활을 시작하면서 '내가 하는 일이 재미있을까?', '이 일이 나에게 의미가 있을까?'와 같은 고민을 할 때 이 이론이 꽤 도움이 될 거예요.해크만과 올드햄의 직무특성이론: 왜 어떤 일은 '내 일' 같고, 어떤 일은 '시키는 일' 같을까? 신입사원으로 회사에 발을 들여놓으면, 기대감과 동시에 여러 고민이 생기죠. "과연 내가 이 회사에서 잘 적응할 수 있을까?", "내가 하는 일이 정말 의미가 있을까?", "매일 반복되는 업무에 지루해지지는 않을까?" 같은 생각들 말이에요.해크만과 올드햄의 직무특성이론은 바로 이런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으려는 시도입니다. 이 이론은 단순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