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산업재해 현황 2024년 산업재해 현황지금 확인하기1. 사고사망자 현황 2024년(누적) 재해조사 대상 사고사망자는 589명(553건)으로 전년 598명(584건) 대비 9명(1.5%), 31건(5.3%)이 감소 1) 업종별 사망자 수 기준 전년 대비 건설업 감소, 제조‧기타업 증가 ▴건설업 276명(272건)으로 27명(8.9%), 25건(8.4%) 감소▴제조업 175명(146건)으로 5명(2.9%) 증가, 19건(11.5%) 감소▴기타 138명(135건)으로 13명(10.4%), 13건(10.7%) 증가2) 규모별 전년 대비 50인(억) 미만은 감소, 50인(억) 이상은 증가 ▴50인(억) 미만은 339명(333건)으로 15명(4.2%), 12건(3.5%) 감소▴50인(억) 이상은 250..
2024년 산업재해현황 2024년 산업재해현황지금 확인하기1. 2024년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 현황 1) 수치 및 비교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 1.57‱ (전체 산업 평균 0.386‱ 대비 4배 이상 높음)업종별 사망자 비중: 건설업 39.7%(328명), 제조업 22.6%, 서비스업 17.5%주요 사고 유형: 고소 추락(35%), 중장비 관련 사고(25%), 구조물 붕괴(15%)2) 인구학적 특징60세 이상 고령층 비중: 전체 사망자의 50% 이상 → 고령 노동자의 신체적 취약성과 안전 교육 미흡이 주원인으로 지목됨.특수고용노동자 사망자: 101명(전년 대비 +18명), 화물차 운전자(44명), 퀵서비스(35명) 등 포함3) 경기 변동 영향2024년 건설업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28명 감소(328명)..
중대재해처벌법4호판결문 중대재해처벌법 4호판결문지금 확인하기중대재해처벌법 제4호 판결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판결은 산업재해와 관련된 사건으로,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 책임을 강조하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제4호 판결: 사건 개요 및 법원 판결의 의미1. 사건 개요2023년 8월 25일,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제1형사부는 주식회사 만덕건설 및 대득건설과 관련된 중대재해처벌법 및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건에 대해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 사건은 경남 함안군에서 진행된 ‘예곡가압장 개선사업’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산업재해로, 피고인들의 안전 관리 소홀로 인해 피해자 서○석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주요 피고인 및 역할1. 주식회사 만덕건설: - 업종: 토목건축공사업 -..
중대재해처벌법 체크리스트중대재해처벌법 체크리스트지금 확인하기 중대재해처벌법의 의무이행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법은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사업주와 경영 책임자의 의무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각 점검사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의무이행사항: 근로자 안전 확보를 위한 필수 가이드 1. 안전 관리 체계 구축 1) 안전보건관리 체계 수립사업주는 사업장의 특성과 규모에 맞는 안전보건관리 체계를 수립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가 포함됩니다:- 안전 목표 설정: 사업의 안전 목표를 명확히 하여 모든 직원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책임자 지정: 안전 관리에 대한 책임자를 지정하고, 이들이 실질적으로 안전 관리를 이행할 수 있도록..
중대재해처벌법3호판결문 중대재해처벌법 3호 판결문지금 확인하기 중대재해처벌법 제3호 판결: 사건 개요 및 법원 판결의 의미1. 사건 개요2023년 6월 23일 인천지방법원에서 선고된 사건(사건번호: 2023고단651)은 주식회사 A와 D, 그리고 이들의 대표이사인 B와 F가 중대재해처벌법 및 산업안전보건법을 위반하여 발생한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 사건과 관련하여 기소된 사례입니다. 이 사건은 근로자의 안전과 생명이 중대재해 예방의 핵심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판결로 여겨집니다.1) 주요 피고인 및 역할1. 주식회사 A: - 업종: 건설업체로, K 근린생활시설 신축공사를 도급받아 수행. - 책임: 소속 근로자 및 관계 수급인 근로자의 안전조치 의무가 있으며,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이행할 책임이 있습니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