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안전보건관리체계구축 매뉴얼

    1. 정의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이행이란 일하는사람(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업스스로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제거,대체 및 통제방안을 마련.이행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개인의 노력과 의지만으로는 산업재해를 예방할수 없습니다. '사람은 실수하고,기계는 고장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안전보건관리체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2. 어떻게 구축하나요

    1. 경영자 : 경영자가 '안전보건경영'에 대한 확고한 리더십을 가져야 합니다
    2. 근로자 : 모든 구성원들이 '안전보건'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할수 있어야 합니다.
    3. 유해위험요인파악 : 작업환경에 내재되어 있는 위험요인을 찾아내야 합니다.
    4. 유해위험요인제거.대체 및 통제 : 유해위험요인을 제거,대체하거나 통제할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5. 비상조치.시나리오 : 급박한 위험에 대응할수 있는 절차 및 시나리오를 마련해야 합니다.
    6. 도급.용역.위탁 대책 : 사업장내 모든 구성원의 안전보건을 확보해야 합니다.
    7. 평가 및 개선  :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3.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위한 7가지 핵심요소

    4.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가지 세부실행 항목

      1) 경영자 리더십

     2) 근로자의 참여

     3) 위험요인 파악

      4) 위험요인 제거.대체 및 통제

     

      5) 비상조치계획 수립

     

       6) 도급.용역.위탁시 안전보건확보

      7) 평가 및 개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