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중대재해처벌법 제3호 판결: 사건 개요 및 법원 판결의 의미
1. 사건 개요
2023년 6월 23일 인천지방법원에서 선고된 사건(사건번호: 2023고단651)은 주식회사 A와 D, 그리고 이들의 대표이사인 B와 F가 중대재해처벌법 및 산업안전보건법을 위반하여 발생한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 사건과 관련하여 기소된 사례입니다. 이 사건은 근로자의 안전과 생명이 중대재해 예방의 핵심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판결로 여겨집니다.
1) 주요 피고인 및 역할
1. 주식회사 A:
- 업종: 건설업체로, K 근린생활시설 신축공사를 도급받아 수행.
- 책임: 소속 근로자 및 관계 수급인 근로자의 안전조치 의무가 있으며,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이행할 책임이 있습니다.
2. B (대표이사):
- 역할: 사업을 총괄하며, 안전·보건상의 유해 또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의무가 있는 경영책임자입니다.
3. C (현장소장):
- 역할: 공사 현장의 안전보건 총괄책임자로서, 소속 근로자와 관계 수급인 근로자의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업무를 총괄합니다.
4. 주식회사 D:
- 업종: 하도급 업체로, K 근린생활시설 신축공사 중 철근 콘크리트 공사를 도급받아 수행.
- 책임: 소속 근로자들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 조치 의무가 있습니다.
5. F (주식회사 D 대표):
- 역할: 소속 근로자들의 산업재해 예방 업무를 총괄하며, 안전 관리에 대한 책임이 있습니다.
2) 법위반 사실 및 법적 책임
1. 법위반 사실
피고인 C와 F는 2022년 3월 16일,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가 기존에 조립된 거푸집의 높이를 낮추는 작업을 하게 하였고, 이 과정에서 안전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근로자는 거푸집이 전도되면서 피해를 입고,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 안전 조치 미비:
- 크레인 등 인양장비에 거푸집을 매달지 않음.
- 사전에 거푸집 조립도를 작성하지 않음.
- 관리감독자를 미배치하고, 임의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방치.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계획서를 미작성.
이러한 과실로 인해 피해자는 중대재해로 사망하게 되었고, 피고인들은 공동의 과실로 법적 책임을 지게 되었습니다.
2. 피고인 B의 법적 책임
B는 경영책임자로서 사업의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이행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그로 인해 C가 산업재해 예방에 필요한 안전 조치를 취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판결에서는 B의 책임을 강조하며, 그의 경영적 과실이 중대재해를 초래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었습니다.
3. 피고인 A와 D의 법적 책임
주식회사 A와 D는 각각의 사업주로서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들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음으로써 피고인 C와 F의 과실을 방치하였고, 이로 인해 근로자가 사망하는 중대재해가 발생하였습니다.
2. 법원 판결의 내용
1. 판결 결과
법원은 피고인들에게 다음과 같은 처벌을 선고했습니다:
- 주식회사 A: 벌금 50,000,000원.
- B: 징역 1년, 집행유예 3년.
- C: 징역 6개월, 집행유예 2년 및 40시간 산업안전사고 예방강의 수강 명령.
- 주식회사 D: 벌금 7,000,000원.
- F: 징역 6개월, 집행유예 2년 및 40시간 산업안전사고 예방강의 수강 명령.
2. 판결의 사회적 의미
이번 판결은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사업주 및 경영 책임자의 법적 의무를 재확인하는 중요한 사례로 여겨집니다. 법원은 안전 관리 체계의 미비로 인한 중대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관계자들에게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였습니다.
3. 법적 근거
이번 판결의 법적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중대재해처벌법 제6조: 사업주 및 경영책임자의 법적 의무를 규정.
- 산업안전보건법 제173조: 안전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의 처벌 규정.
- 형법 제268조: 업무상 과실치사에 대한 규정.
3. 결론
중대재해처벌법 제3호 판결은 근로자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책임을 강조하며, 사업주와 경영 책임자에게 안전 관리의 중요성을 각인시키는 사례로 남을 것입니다. 이 판결은 앞으로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법적 기준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