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해마다 많은 전기재해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전기재해의 주요 종류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전기재해의 종류
- 감전 재해
- 전기 누전
- 전기 화재
- 정전기 재해로 크게 4가지로 구분할수 있다
2. 감전재해 종류별 특징
1. 감전재해란
감전재해란 전기 에너지가 인체의 일부 또는 대부분에 가해져 충격을 받은 현상을 말한다
![]() |
이는 아크의 복사열에 의한 화상과 함께 전류에 인체가 감전 사망에 이른다.
2. 감전사고 원인 및 발생 형태
- 피복이 벗겨진 전선이나 기기외함에 접촉
- 기기의 결함으로 누전된 기기의 외함,철구조물에 접촉
- 고전압 케이블 주위에 인체근접 공기의 절연파괴로 감전,화상
- 낙뢰로 인하여 전기 에너지가 인체를 통해 방전되는 경우
![]() |
3. 감전에 영향을 주는 요소
- 통전전류의 크기
- 통전 시간
- 통전 경로
- 전원의 종류
4. 감전사고 발생시 위험 요인
- 인체를 통한 전류의 크기가 클수록 위험이 증가
- 심장부 통전시 혈액순환 기능마비에 의한 심실세동으로 심장마비 위험 증가
- 전기 충전부 접촉시 발생한 수천도으 전기 아크 및 불꽃에 의한 화상위험증가
- 전기 쇼크기 추락,전도등의 2차 위험발생
5. 통과 전류의 크기에 의한 영향
![]() |
6. 감전사고 예방 기본대책
- 전기기기 및 배선등 모든 충전부는 노출금지
- 전기기기는 반드시 접지 실시
- 전기기기는 절연,누전차단기 설치
- 절연장갑,절연신발,작업장 바닥 건조
- 젖은손으로 전기기기 접촉 금지
- 배선용 전선은 중간에 접속점이 없는 것 사용
반응형